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조울증의 특징 및 적절한 치료방법은?

조울증(bipolar disorder)은 기분이나 정서의 변화가 극단적으로 크게 나타나며, 주로 기분이 매 시간 번갈아가며 변동되는 장애입니다. 옛날에는 조울성 우울병이라고도 불렸으나, 이 용어는 현재는 조울증(bipolar disorder)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조울증은 매우 심각한 정신질환으로 생각되며, 정신과적 문제 중에서도 가장 치료가 어려운 것 중 하나로 생각되어집니다.

 

조울증

조울증(bipolar disorder)은 정신건강 질환 중의 하나로, 기분의 극단적인 변화와 에너지 수준, 활동량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적인 양극성 증상을 가지는 심각한 정신질환입니다. 이 질병은 개인의 삶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며, 치료 없이는 일상 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은 일상적인 상태와 우울한 기분, 두 가지 극단적인 정서 상태인 '조울 상태''우울 상태' 사이를 오가며 나타납니다.

1. 조울증의 주요 특징

1.1. 양극성

이러한 질환은 '조울 상태''우울 상태'라고 불리는 두 극단적인 정서 상태가 번갈아 나타나는 양극성을 나타납니다. 과다한 흥분, 과도한 활동, 과신, 경쾌한 기분, 맹목적인 결정, 적은 수면 필요 등을 특징으로 갖고있습니다. 우울한 상태가 지속되며 진폭이 큰 기분 저하, 죄의식, 흥미 상실, 음울함, 사회적 인터랙션이 부족, 사고와 움직임이 느려지고 기운이 없어집니다.

1.2. 조울과 우울 사이의 왕래

개인들은 주기적으로 조울 상태와 우울 상태를 경험합니다. 이러한 상태는 길이와 세기가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조울과 우울의 사이에 조절 상태인 정상 상태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1.3. 재발과 완화

이러한 질환은 재발과 완화의 주기를 가집니다. 우울한 기분이 나타난 뒤에 조울 상태가 발생하고, 이후 다시 우울한 기분이 주기적으로 나타납니다.

2. 조울증의 유형

2.1. 조울 I(Bipolar I Disorder)

조울 상태와 우울 상태가 번갈아 나타나며, 조울 상태가 주변인의 일상생활에 정확한 영향을 미칩니다. 적어도 한 번의 조울 상태 에피소드가 있어야 진단 가능합니다.

2.2. 조울 II(Bipolar II Disorder)

우울 상태와 조울 상태가 번갈아 나타나지만, 조울 상태의 세기나 기간이 조울 I형보다 덜 뚜렷하고 짧게 나타납니다. 조울 상태가 우울 상태보다 덜 심하게 나타납니다.

2.3. 사이클로석특성 조울증 (Cyclothymic Disorder)

이러한 질환은 우울 상태가 짧은 기간 동안 번갈아 나타나는데, 세기가 중간 정도로 경미하지만, 장기간에 걸쳐 계속되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3. 조울증의 원인

3.1. 유전적 요인

가족력이 있는 경우, 조울증 발병 위험이 증가합니다. 유전적인 요소들이 조울증 발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3.2. 뇌 화학 불균형

이러한 질환의 환자의 뇌에서 뉴로트랜스미터라 명명되는 화학 물질의 불균형이 발생합니다. 특히,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의 불균형이 조울증 증상에 영향을 줄 것으로 학자들은 판명했습니다. 정신적 스트레스, 사회적인 문제, 외상, 가정 내 문제, 가난, 가족 문제 등이 이 질환의 발병을 유발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유전적,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작용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질환은 유전적인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족력이 있는 사람들의 발병 위험이 높아지며, 특히 1촌 친척이 이러한 질환이나 우울증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발병 위험이 상승합니다.

 

이러한 질환을 가진 환자의 뇌에서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뇌 화학 물질의 불균형이 발견됩니다. 특히, 이러한 뇌 화학 물질의 변화는 기분과 에너지 조절에 영향을 미칩니다. 조울증 환자의 뇌 구조와 기능에도 이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뇌의 일부 부위나 회로에서 활동이 이상하게 작용하거나 연결이 더 복잡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와 정신적인 외상은 이러한 질환의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급격한 스트레스 상황이나 정신적인 충격, 손실, 가정 내 문제 등이 조울증의 증상을 힘들어지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어린 시절에 겪은 심리적 충격, 학교에서의 문제, 가정 내에서의 어려움이 이러한 질환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약물이나 알코올의 남용이 이러한 질환의 발병과 악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의 원인은 다양하게 작용하며, 환자 개개인의 상황과 상호작용하면서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또는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여 맞는 치료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4. 치료

조울증의 치료는 조울 상태와 우울 상태를 안정시키고 재발을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종합적인 치료 접근법을 사용하여 의약품 치료, 심리적 치료, 생활습관 개선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1 약물 치료

약물 치료는 이러한 질환의 증상을 관리하고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조울 상태와 우울 상태를 안정시키는데 사용되며, 다음과 같은 약물들이 사용됩니다:

  • 리튬 (Lithium): 조울 상태의 안정화에 사용되며, 재발을 예방하고 우울증 증상을 완화합니다.
  • 항우울제 (Antidepressants): 우울 상태의 증상을 관리하고 완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 수치를 조절합니다.
  • 항불안제 (Antianxiety medications): 과도한 불안이나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항불안제 (Antipsychotics): 조울 상태나 정신증상을 관리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4.2 심리적 치료

심리적 치료는 환자의 심리적인 증상을 관리하고 치료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사용됩니다:

인지행동치료 (Cognitive-Behavioral Therapy, CBT): 부정적인 사고 패턴을 식별하고 수정하여 긍정적인 생각과 행동을 유도합니다.

  • 인지 재구조화 (Cognitive Restructuring): 부정적인 사고를 긍정적으로 재구성하고 심리적인 건강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가르칩니다.
  • 심리교육 (Psychoeducation): 환자와 가족에게 조울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치료 계획에 대한 지식을 제공합니다.
  • 심리치료 (Psychotherapy): 개인이나 가족 또는 군체 치료를 통해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가르칩니다.

4.3 전기 쇄도 요법 (ECT)

전기 쇄도 요법은 심각한 조울증 환자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뇌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여 뇌 활동을 변화시켜 이러한 질환의 증상을 완화시킵니다.

4.4 생활습관 개선

  • 규칙적인 생활 습관 유지: 규칙적인 수면 패턴, 식사, 운동 등 규칙적인 일정을 유지하여 생활의 안정감을 가져옵니다.
  • 건강한 식습관: 영양균형을 맞춘 건강한 식사를 유지하여 신체적인 건강을 지킵니다.
  •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습니다.
  • 약물과 알코올 피하기: 조울증 치료 중에는 약물과 알코올을 피하거나 제한하여 치료 효과를 높입니다.

조울증 치료에는 맞춤형 치료 계획이 중요하며, 주기적인 의사와 정신건강 전문가와의 상담 및 도움이 필요합니다. 치료를 받는 환자와 그 가족은 증상의 관리와 재발 예방을 위해 협력하여 치료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심리학과 연구분야 7가지  (0) 2023.11.07
조현병의 특징 7가지란?  (0) 2023.10.19
불안장애 4가지 및 치료방법은?  (0) 2023.10.19
건강한 정신건강을 유지하는 방법은?  (0) 2023.10.18
약물중독의 늪  (0) 2023.10.18

.btn.blue { width: 90%; background-color: #ffffff; border-top: 1px solid #0000ff; border-bottom: 1px solid #0000ff; border-right: 1px solid #0000ff; border-left: 1px solid #0000ff; } .btn { text-decoration: none; text-align: center; font-size: 18px; color: #0000ff; padding: 13px 13px 13px 13px; margin: 2px; display: inline-block; border-radius: 20px; } .btn.blue:hover { background-color: #0000ff; color: #fff; }